조류 이름

제목한국의 겨울 철새 2024-12-30 14:27
작성자 Level 10

한국의 겨울철새는 주로 가을에 북쪽(시베리아, 몽골 등)에서 한국으로 이동하여 겨울을 보내고, 봄이 되면 다시 번식지로 돌아가는 새들입니다. 

아래는 한국의 주요 겨울철새에 대한 표입니다.

 

한국의 겨울철새 (Winter Migratory Birds)

 


 한국 이름

 영어 이름

 목 (Order)

 과 (Family)

 학명 (Species)

 큰고니

 Whooper Swan

 기러기목 (Anseriformes)

 오리과 (Anatidae)

 Cygnus cygnus

 큰기러기

 Greater White-fronted Goose

 기러기목 (Anseriformes)

 오리과 (Anatidae)

 Anser albifrons

 흰뺨검둥오리

 Eastern Spot-billed Duck

 기러기목 (Anseriformes)

 오리과 (Anatidae)

 Anas zonorhyncha

 고방오리

 Mallard

 기러기목 (Anseriformes)

 오리과 (Anatidae)

 Anas platyrhynchos

 재두루미

 White-naped Crane

 두루미목 (Gruiformes)

 두루미과 (Gruidae)

 Grus vipio

 두루미

 Red-crowned Crane

 두루미목 (Gruiformes)

 두루미과 (Gruidae)

 Grus japonensis

 쇠오리

 Eurasian Teal

 기러기목 (Anseriformes)

 오리과 (Anatidae)

 Anas crecca

 청둥오리

 Northern Pintail

 기러기목 (Anseriformes)

 오리과 (Anatidae)

 Anas acuta

 황새

 Oriental Stork

 황새목 (Ciconiiformes)

 황새과 (Ciconiidae)

 Ciconia boyciana



특징 및 서식지

1.도래 시기:

•겨울철새는 주로 10월~11월 사이에 도착하여 2월~3월 사이에 번식지로 돌아갑니다.

2.서식지:

큰고니, 큰기러기: 하천, 호수, 논, 습지 등에서 자주 관찰됩니다.

재두루미, 두루미: 평야, 습지, 간척지에서 서식하며 보호 종으로 지정된 경우가 많습니다.

황새: 논과 습지에서 먹이를 찾는 모습이 자주 보입니다.

3.생태적 중요성:

•겨울철새는 물가 생태계의 건강성을 나타내는 지표가 됩니다.

•두루미, 황새 등은 전 세계적으로 보호가 필요한 희귀종입니다.

 

추가 보호종

•한국의 겨울철새 중 황새, 두루미는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특별한 보호를 받고 있습니다.

•주요 서식지는 DMZ, 철원 평야, 서산 간척지 등이 있습니다.

댓글
자동등록방지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