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여름철새 (Summer Migratory Birds)
한국 이름 |
영어 이름 |
목 (Order) |
과 (Family) | 학명 (Species) |
뻐꾸기 |
Common Cuckoo |
두견이목 (Cuculiformes) |
두견이과 (Cuculidae) | Cuculus canorus |
꾀꼬리 |
Black-naped Oriole |
참새목 (Passeriformes) |
꾀꼬리과 (Oriolidae) | Oriolus chinensis |
제비 |
Barn Swallow |
참새목 (Passeriformes) |
제비과 (Hirundinidae) | Hirundo rustica |
팔색조 |
Fairy Pitta |
참새목 (Passeriformes) |
팔색조과 (Pittidae) | Pitta nympha |
호반새 |
Ruddy Kingfisher |
파랑새목 (Coraciiformes) |
물총새과 (Alcedinidae) | Halcyon coromanda |
해오라기 |
Black-crowned Night Heron |
황새목 (Ciconiiformes) |
왜가리과 (Ardeidae) | Nycticorax nycticorax |
두견이 |
Lesser Cuckoo |
두견이목 (Cuculiformes) |
두견이과 (Cuculidae) | Cuculus poliocephalus |
특징 및 서식지 1. 도래 시기: • 여름철새는 주로 4월~5월 사이에 도착하여 번식을 시작합니다. • 가을(9월~10월)에 다시 이동합니다. 2. 서식지 및 번식지: • 뻐꾸기, 두견이: 산림과 농촌에서 흔히 발견됩니다. • 꾀꼬리: 숲 속에서 울음소리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 제비: 인간 거주지 근처에서 둥지를 틀며, 논과 하천 주변에서 자주 볼 수 있습니다. • 팔색조, 호반새: 희귀종으로 숲속의 특정 지역에서만 관찰됩니다. 3. 생태적 역할: • 여름철새는 곤충 및 해충을 먹어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